Whatever

안녕하세요. 김안전입니다.

전통주 이야기 네번째 순서는 바로 전통주의 역사입니다.

꽤나 오래된 역사를 가지고 있는게 바로 우리술이죠 무려 고조선, 신라, 조선 시대부터 그 전통이 이어지고 있으니까요.

오늘은 조선시대부터 이어지는 전통주의 역사를 포스팅 해볼게요.

 

 

 

전통주의 역사

전통주는 한국의 5000년 역사 내내 우리와 함께 해온 문화입니다. 한국인은 지금도 술을 좋아하는 민족으로 알려졌지만, 조선시대 서민들 또한 술을 즐겨 마셨다고 기록되어 있습니다. 조선시대 최초의 식당도 ‘명월관’이라 하여 음주가무를 즐기는 술집이었고, 가정에서도 국민의 60% 이상이 김치 담그듯 집집마다 가양주를 빚어 마셨다고 합니다. 이러한 문화는 일제강점기에 들어서 가양주에 세금이 붙기 시작하면서 사라지기 시작했습니다. 그럼 우리나라 전통주의 역사를 알아보겠습니다.

 

 

조선시대(1392-1897년) / 가양주 문화의 우리 술

대부분의 국민이 김치 담그듯 가양주, 즉 집에서 술을 빚었으며 계절별로 다양한 술이 존재했습니다.

 

 

일제강점기(1910-1945년) / 전통주의 몰락

주세법 제정 공포(1909년)

세금, 면허 없이 빚던 술을 면허를 가진 사람만 세금을 내며 빚을 수 있 게 되었습니다. 가양주 형태의 술빚기는 불법이 되고, 세금을 내게 되자 많은 사람들이 술을 만들지 않았죠. 그럼에도 등록된 면허는 30만이 넘었고, 천만을 조금 넘었던 조선 인구를 따지면 그만큼 가양주 문화가 우리 문화에 뿌리 깊이 박혀있었다는 사실을 알수 있습니다.

 

주세령 공포(1916년)

일반 양민은 제조면허를 받지 못하게 되고, 대신 상업적으로 주류를 제조하는 부유층만 양조 면허를 부여받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처럼 조선은 전통술을 억제함과 동시에 쌀을 사용하지 않은 값싼 희석식 소주를 대량으로 유통해 음주문화를 바꾸기 시작했습니다.

 

자가용 주류제조 금지(1934년)

민간의 상업용 주류 제조가 금지되고, 주류가 완전 통제되는 국면을 맞이했습니다. 현재 우리나라 전체 세수 대비 주세는 약 1% (2조 8000억 원)인 데, 이 시기 조선의 전체 세수 대비 주세는 30%였다고합니다. 술로 인한 세금 관리가 굉장히 엄격했다는 것을 보여주는 대목입니다.

 

 

 

 

 

 

 

6·25전쟁 (1950-1953년) 이후 / 쌀 부족으로 인한 밀가루 대체

양곡관리법(1965년)

전쟁 이후 경제상황이 많이 어려웠던 우리나라는 당장 먹을 쌀도 부족 한데 술을 빚는 것은 사치라고 여겼습니다. 따라서 술 제조에 쌀을 사용하 는 것이 전면 금지됐으며 이때부터 쌀을 사용하지 않은 저렴한 희석식 소주와 밀가루로 만든 막걸리가 본격적으로 대중화되기 시작했습니다. 힘든 시절을 견디기 위한 ‘부어라 마셔라’의 음주문화가 바로 이 때부터 정착 되기 시작한 것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자도소주구입명령제 도입(1976년)

이 제도는 일부 업체의 시장독점을 방지하고 지방 소주업체를 육성한다 는 명목으로 도입되었어요. 시도별로 한 개의 소주 업체에게만 생산 권한을 주고, 생산량의 50% 이상을 각 시도에서 강제 소비하도록 한 제도입니다. 시도별로 한 업체에게 독점권이 생긴 것이었고, 이로 인해 각 시도를 대표하는 소주*가 탄생하게 것이랍니다.

*강원-처음처럼, 서울-참이슬, 제주-한라산 등 

 

출처 : 술담화 http://www.sooldamhwa.com/community/edu/

 

 

 

마무리

6.25전쟁 이후 즉, 88올림픽 전후부터 현시점인 전통주 온라인 판매까지는 '하' 편으로 작성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마지막으로 소주를 즐겨 드시는 분이시라면 화요, 일품진로를 한번 드셔보시는 것도 전통주를 쉽게 접할 수 있는 기회이니 추천 드립니다. 증류식 소주이기 때문에 일반 희석식과는 다르게 곡물의 풍미가 느껴지고 확실히 숙취가 덜 한 것을 느끼실 수 있습니다.

 

 

[기획 시리즈/우리술 전통주 이야기] - 이야기 첫번째 전통주란?

[기획 시리즈/우리술 전통주 이야기] - 이야기 두번째 전통주 분류법

[기획 시리즈/우리술 전통주 이야기] - 이야기 세번째 전통주의 종류

 

 

 

이 글을 공유합시다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